NEOEARLY* by 라디오키즈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메뉴 리스트

  • 홈
  • 공지사항
  • 방명록
  • 모든 글 보기 (12445) N
    • N* Tech (7857) N
      • Device (5267)
      • IT Service (1281)
      • ECO (253)
      • Science (1044) N
    • N* Culture (2646) N
      • Ani/Comics (83)
      • Design (1399)
      • Game (351) N
      • Hobby (95)
      • Movie (366)
      • Music (153)
      • TV (144)
    • N* Life (1303) N
      • Gourmet (366)
      • Health (206)
      • Travel (292)
    • N* Kidz (625)
      • AudioLog (73)
      • Etc. (299)

검색 레이어

NEOEARLY* by 라디오키즈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N* Tech/ECO

  • 여전히 석탄에 가장 의존하는 나라는? by VISUALCAPITALIST.com

    2023.08.11 by 라디오키즈

  • 디플리, 굴 껍데기와 타이어 등을 재활용해 만든 잠수복을 내놓다

    2023.07.25 by 라디오키즈

  • 미국서 가장 많이 버려지는 플라스틱? by VISUALCAPITALIST.com

    2023.03.30 by 라디오키즈

  • 어그리 허브 by URB, 두바이에 들어설 세계 최대 생태 농업 관광지

    2023.03.16 by 라디오키즈

  • 아네모이 마린 로터 돛, 마그누스 효과로 선박에 친환경을 더하다

    2023.03.08 by 라디오키즈

  •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많이 만들고 있는 나라 10 by Louis Lugas

    2023.02.28 by 라디오키즈

  • TBWA\하쿠호도 x 코시 화학 쉘멧, 폐가리비 껍데기로 만든 안전모

    2023.01.20 by 라디오키즈

  • 관리되지 않는 세계의 플라스틱 폐기물 by VISUALCAPITALIST.com

    2023.01.12 by 라디오키즈

  • 전 세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시각화 by VISUALCAPITALIST.com

    2023.01.04 by 라디오키즈

  • 롤스로이스 & 이지젯, 세계 최초의 수소 항공기 엔진을 테스트하다

    2023.01.02 by 라디오키즈

  • 2025년부터 건물 건축 시 태양광 패널 설치를 의무화한 일본 도쿄

    2022.12.27 by 라디오키즈

  • 스토라 엔소 리그노드, 나무에서 얻은 재료로 전기차가 달리게 될까?

    2022.11.25 by 라디오키즈

  • 커피비, 캡슐 대신 커피볼로 내리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커피 머신

    2022.11.17 by 라디오키즈

  •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재생 가능 에너지? by VISUALCAPITALIST.com

    2022.11.14 by 라디오키즈

  • 릴리엔탈 베를린 커피 워치, 커피 찌꺼기로 업사이클링한 손목시계

    2022.09.26 by 라디오키즈

  • 한 사람이 사용하는 화석연료의 양?! by VISUALCAPITALIST.com

    2022.09.20 by 라디오키즈

  • 알스톰 코라디아 아이린트, 세계 최초로 상업운행 시작한 수소 열차

    2022.09.15 by 라디오키즈

  • 태양광 발전 시장에서 중국의 생산력? by VISUALCAPITALIST.com

    2022.09.08 by 라디오키즈

  • 에코 웨이브 파워, 마요르카에 생길 거라는 스페인의 첫 파력 발전소

    2022.07.28 by 라디오키즈

  • 에코바도. 친환경적이지는 않지만, 힙한 아보카도를 모방한 대체제?

    2022.07.15 by 라디오키즈

여전히 석탄에 가장 의존하는 나라는? by VISUALCAPITALIST.com

한때는 인류 문명과 산업을 든든히 지원한 에너지원이었지만, 현재는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한 원인으로 퇴출의 대상이 되고 있는 화석연료의 대명사 석탄. 지구온난화를 넘어 끓는 지경에 이르고 있는 지구를 구하기 위해, 아니 인류의 미래를 위해 석탄 퇴출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적잖은 나라들이 석탄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화석연료, 그중에서도 석탄에 의조하고 있는 나라는... BP의 자료를 바탕으로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석탄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나라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석탄뿐 아니라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록으로 표시된 기타 에너지원이 모두 친환경 에너지는 아니겠지만, 상대적으..

N* Tech/ECO 2023. 8. 11. 19:00

디플리, 굴 껍데기와 타이어 등을 재활용해 만든 잠수복을 내놓다

삶의 수준이 높아지고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제품을 선택할 때 성능이나 디자인, 가격 외에도 소재나 그 제품이 표방한 가치에 관심을 가지는 이들이 많아졌죠. 가치 소비라는 말과 함께 단순히 제품을 소비하는 게 아니라 그 제품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해서도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됐고요. 굴 껍데기, 타이어 등을 재활용해 만드는 디플리의 잠수복은... TBWA\하쿠호도 x 코시 화학 쉘멧, 폐가리비 껍데기로 만든 안전모 겨울이면 굴의 계절이죠. 덕분에 엄청난 양의 굴껍질이 버려지고 있을 텐데요. 최근엔 그런 굴껍데기를 건축자재나 비료, 공유수면 매립지에 성토 재료로 활용하곤 한다고 하더군요. 이렇게 그 neoearly.net 지난번에 일본에서 가리비 껍데기를 이용해 안전모를 만드는 데 우리도 굴 껍데기를 더..

N* Tech/ECO 2023. 7. 25. 19:00

미국서 가장 많이 버려지는 플라스틱? by VISUALCAPITALIST.com

종량제 봉투에 매일 쌓여가는 쓰레기를 보고 있자면 우리의 삶이라는 게 쓰레기를 만드는 과정이 아닐까라는 엉뚱한 생각까지 들곤 합니다. 인류가 살아기기 위해서 불가피한 면도 있지만, 특히 일회용품 쓰레기를 보면 자괴감이 들고는 하는데요. 에코백을 들고 마트에 들르고, 텀블러를 가지고 출퇴근하면서 음료 마실 때도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나 혼자 한다고 달라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그럼에도 나라도 하자는 생각이 혼란스러운 요즘. 미국에서 가장 많이 버려지는 플라스틱 10가지, 1위는... greenbutts의 자료를 바탕으로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뭔지 또 얼마나 버려지는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

N* Tech/ECO 2023. 3. 30. 19:00

어그리 허브 by URB, 두바이에 들어설 세계 최대 생태 농업 관광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부르즈 칼리파와 세계 지도를 형상화한 인공섬 더 월드 등 독특한 형태부터 거대한 규모 등을 앞세워 세계 건축물 백화점이라고 불리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최대 도시인 두바이. 덕분에 두바이로 관광을 떠나는 이들이 늘고 있고 실제로 두바이에서도 관광 산업을 끌어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인데요. 탈탄소화된 미래 농업의 비전 담은 세계 최대 생태 농업 관광지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두바이 사막을 초록으로 물들이고 관광객까지 끌어들일 세계 최대의 탈탄소화된 농업 관광지가 새롭게 들어설지도 모르겠습니다. 건축 스튜디오 URB가 제안한 농업 생태 관광 허브인 어그리 허브(Agri Hub)가 준비 중이거든요. 1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도 공급될 거라는 어그리 허브에는 자연 ..

N* Tech/ECO 2023. 3. 16. 07:00

아네모이 마린 로터 돛, 마그누스 효과로 선박에 친환경을 더하다

조금씩 이상해지는 기후를 경험하다 보면 환경 문제에 눈을 감아서는 미래가 없겠다는 걸 느끼고 있는데요. 하루아침에 세상이 무너지는 게 아니다 보니 내가 뜨거운 물에 익어가는데 익는 줄 모르는 개구리가 아닐까란 우려가 스멀스멀 마음속에서 자라더라고요. 그렇다 보니 환경 친화적이라거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에는 관심이 많이 가는 편입니다. 그래서 블로그에도 꾸준히 관련 글을 쓰고 있는데... 연료 소비도 탄소 배출도 줄여줄 선박 솔루션, 아네모이 로터 돛 이번에 소개할 건 영국의 아네모이 마린 테크놀로지(ANEMOI Marine Technologies)가 개발 중인 로터 돛(Rotor Sails) 기술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바람의 신을 의미하는 아네모이에서 이름을 따온 기업답게 그들이 연구 중인 기술인..

N* Tech/ECO 2023. 3. 8. 19:00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많이 만들고 있는 나라 10 by Louis Lugas

태평양에 가면 거대한 쓰레기섬이 떠있다더라 우리가 먹는 생선에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더라 같은 괴담보다 무서운 현실을 살고 있음에도 눈앞에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눈감고 있는 쓰레기 문제. 아마 분리수거를 위해 쓰레기를 분류해서 내놓다 보면 문득 실감하시지 않을까 싶은데요. 인류가 편의를 위해 만들고 쉽게 버리며 커져가는 쓰레기 문제. 그중에서도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공포를 느낄 수 있을 자료를 하나 소개할까 합니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나라는 어디일까? Louis Lugas가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논문을 바탕으로 만든 이 인포그래픽은 빗물을 타고 강을 거쳐 바다에 흘러들어간 플라스틱 폐기물, 어구와 어망 등이 바다에 버려지는 것 등을 고려해 어느 나라에서 해양 ..

N* Tech/ECO 2023. 2. 28. 19:00

TBWA\하쿠호도 x 코시 화학 쉘멧, 폐가리비 껍데기로 만든 안전모

겨울이면 굴의 계절이죠. 덕분에 엄청난 양의 굴껍질이 버려지고 있을 텐데요. 최근엔 그런 굴껍데기를 건축자재나 비료, 공유수면 매립지에 성토 재료로 활용하곤 한다고 하더군요. 이렇게 그간 신경 쓰지 않았던 자원의 재활용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전 세계에서 불고 있는 친환경 트렌드인데요. 일본의 TBWA\하쿠호도(TBWA\Hakuhodo)와 플라스틱 제조사 코시 화학 공업(Koushi Chemical Industry Co.)이 함께 선보인 쉘멧(SHELLMET)은 버려지는 가리비 껍데기를 재활용했다고 하더군요. 버려지던 가리비 껍데기를 재활용해 만든 안전모, 쉘멧 조개로 만든 헬멧이란 의미를 담았을 게 분명한 쉘멧은 폐가리비 껍데기와 재활용 플라스틱을 섞어 만든 쉘스틱(Shellstic)이란 소재로 만든 안..

N* Tech/ECO 2023. 1. 20. 07:00

관리되지 않는 세계의 플라스틱 폐기물 by VISUALCAPITALIST.com

현대인은 편리를 위해 많은 걸 사용하지만, 그중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것 중에 하나가 플라스틱인데요. 다양한 형태로 가공해 사용할 수 있다 보니 지금 이 순간에도 플라스틱은 우리의 일상에서 함께하고 있는데 문제는 그렇게 많이 쓰이는 만큼 폐기물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플라스틱은 특성상 잘 썩지 않기 때문에 자연으로 녹아들지 않는다는 거고 그래서 폐기물 문제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요. 최근엔 미세 플라스틱이 되어 인류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죠. 각국에서 관리되지 않고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Science Advances Journal에 소개된 Meijer et al의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전 세계의 플라스..

N* Tech/ECO 2023. 1. 12. 19:00

전 세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시각화 by VISUALCAPITALIST.com

이산화탄소를 먹고 산소를 배출하는 식물처럼 인간은 살아가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왔습니다. 문제는 인간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편의를 위해 문명이 발전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자연의 균형이 깨지고 그 화가 인류에게 돌아와 기후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는 걸 텐데요. 문제를 해결하려면 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게 중요하겠죠. 밝을수록 탄소 배출량이 많은 지역, 우리나라는? PythoMaps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유럽 집행위원회의 2018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의 탄소 배출량을 지도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연간 탄소 배출량이 적을수록 어둡고 붉게 많을수록 밝고 하얗게 표시되는데요. 인류가 매년 뿜어내는 이산화탄소는 약 340억 톤. 인구 대국이자 세계의 공장으로 여전히 존재..

N* Tech/ECO 2023. 1. 4. 19:00

롤스로이스 & 이지젯, 세계 최초의 수소 항공기 엔진을 테스트하다

전기차와 수소차로 이어지는 친환경 경쟁이 비단 지상에서만 이뤄지고 있는 건 아닙니다. 이전에도 몇 번 소개한 것처럼 하늘 위에서도 전기나 수소에서 에너지를 얻어 하늘을 날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거든요. 얼마 전 롤스로이스(Rolls-Royce)와 이지젯(easyJet)이 세계 최초의 수소 항공 엔진의 지상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하더군요. 탄소 배출 없이 하늘을 날 미래를 꿈꿀 수소 항공기 엔진 항공기용 엔진을 만들어온 롤스로이스가 선보인 이번 수소 엔진은 롤스로이스의 AE 2100 항공기 엔진을 개조해 만든 것으로 유럽 해양 에너지 센터에서 풍력과 조력 발전 등으로 얻은 녹색 수소를 사용해 작동시켰다고 하는데요. 200바(bar)의 압력으로 압축해 탱크에 들어가는 수소의 양을 늘렸다고 하더군..

N* Tech/ECO 2023. 1. 2. 19:00

2025년부터 건물 건축 시 태양광 패널 설치를 의무화한 일본 도쿄

꾸준히 높아지는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우리는 여러 가지 에너지를 끌어 쓰고 있습니다. 문제는 친환경 에너지 사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다 보니 화석연료에 의존해 전기 같은 에너지를 만들고 있다는 건데... 그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와 함께 최근엔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 배출이 기후 위기를 키우는 기폭제가 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런 변화에 맞춰 정부, 기업 등 사회 구성원의 움직임이 달라지고 있죠. 단독 주택까지 태양광 패널 설치를 의무화한 일본 도쿄 이번엔 가까운 나라 일본 소식인데요. 2025년 4월 부터 도쿄에 건설되는 20,000 평방미터 이상의 건물에는 태양광 패널 등 재생 가능 에너지를 위한 장치 설치가 의무화된다고 하더군요. 단독 주택부터 아파트까지 규모만 기준 이상이면 설치를 해야 된..

N* Tech/ECO 2022. 12. 27. 19:00

스토라 엔소 리그노드, 나무에서 얻은 재료로 전기차가 달리게 될까?

전기차를 비롯해 우리 주변의 많은 전자기기가 배터리를 사용해 에너지를 공급받습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리튬을 양극재로 사용하고 있는 줄 알았는데 꼭 리튬만이 아니라도 전기차 배터리의 양극재로 쓰일 수 있는 물질이 있나 보더군요. 그것도 나무에... 나무에서 얻은 재료로 친환경 배터리를 만든다는 스토라 엔소 핀란드의 제지회사 스토라 엔소(Stora Enso)가 리그노드(Lignode)라는 이름으로 바로 나무를 이용해 흑연 양극재의 대안을 연구하는 있다는군요. 나무에 풍부한 리그닌(Lignin)이라는 물질을 흑연을 대신할 경질 탄소로 만들어 더 효율적인 양극재를 만들 수 있을 거라는 건데요. 흑연은 채굴 같은 생산 과정에서부터 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고용량 충전에도 한계가 있는데 나무에서 얻을..

N* Tech/ECO 2022. 11. 25. 19:00

커피비, 캡슐 대신 커피볼로 내리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커피 머신

내일을 살 힘을 오늘로 끌어다 쓰는 음료, 현대인이 필수 음료처럼 즐기는 커피는 일상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누군가는 커피전문점에서 사서 마시기도 하고 다른 누군가는 직접 커피를 내리거나 간편한 스틱 커피로 즐기기도 하는데요. 최근에는 적잖은 이들이 커피를 마시는 방법으로 캡슐 커피를 택하고 있는데요. 분리수거를 한다고 해도 재활용이 쉽지 않을 캡슐 커피 대신 커피 볼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캡슐(?)을 제안한 커피 머신 회사가 있습니다. 커피 캡슐 대신 지속가능한 방식의 커피 캡슐(?), 커피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스위스의 커피 브랜드 커피비(CoffeeB) 이야긴데요. 그들이 제안한 커피 머신 커피비(CoffeeB)는 커피 원두를 응축한 후 무색 무미의 해초 소재..

N* Tech/ECO 2022. 11. 17. 07:00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재생 가능 에너지? by VISUALCAPITALIST.com

우리는 아직 석유나 석탄, 천연가스 같은 화석연료에 더 많이 의존하고 있지만, 그렇게 화석연료에 의지하면서 심각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의 현실화 앞에 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는 중입니다. 풍력이나 태양광 등으로 전체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얻고 있는 유럽 등 일부 국가에 비하면 우리는 아직 많이 늦었지만, 그래서 더 열심히 분발했으면 좋겠는데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재생 가능 에너지 5가지는...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자료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다섯 가지 재생 가능 에너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댐 등을 통해 이미 익숙하게 활용 중인 수력 발전과 함께 태양광과 풍력 발전, 지열과 바이오매스 등이 언급되어 있는데요. 2021년 기..

N* Tech/ECO 2022. 11. 14. 19:00

릴리엔탈 베를린 커피 워치, 커피 찌꺼기로 업사이클링한 손목시계

폐기물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걸 업사이클링이라고 하죠. 환경 문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커지면서 패션 업계를 비롯해 다양한 곳에서 이런 업사이클링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커피를 내리고 나면 남는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하는 것도 그중 하나입니다. 비료나 탈취제 같이 단순한 형태도 있지만, 좀 더 향기 나는 변신도 있어서 소개해볼까 하는데요.~@_@/ 커피 찌꺼기를 업사이클링하니 손목시계에서 커피향이 풍겼다 독일의 시계 브랜드 릴리엔탈 베를린(Lilienthal Berlin)이 제안한 커피 워치(COFFEE WATCH)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가죽을 활용해 만드는 기존의 손목시계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본체에 커피 찌꺼기를 사용해 마감한 덕분에 독특한 색감과 은은한 커피 향기까지 얻..

N* Tech/ECO 2022. 9. 26. 19:00

한 사람이 사용하는 화석연료의 양?! by VISUALCAPITALIST.com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트리거로 지목되면서 많은 나라에서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화석연료에 맞춰 구성된 세상이 재구축되기 전에는 화석연료와의 결별이 쉽지 않을 듯해서 걱정입니다. 한쪽에선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와 수소를 활용하는 수소 경제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다른 한쪽에선 그런 노력과 상관없이 당장 눈앞에 화석연료 사용에 적극적이니까요.=_=;; 한 사람이 평생 사용하는 화석연료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 그렇게 화석연료가 여전히 막강한 힘을 가진 세상에서 우린 얼마나 화석연료를 쓰고 있을까요? VISUAL CAPITALIST가 미국 광업 협회(National Mining Association)와 Worldometer의 자료를 바탕으로..

N* Tech/ECO 2022. 9. 20. 19:00

알스톰 코라디아 아이린트, 세계 최초로 상업운행 시작한 수소 열차

생산과 유통의 어려움이 많아 아직 사용이 제한적이긴 하지만, 우주에 가장 많은 원소 중 하나이고 전기를 만들고 나면 물만 남아 친환경 에너지로 관심을 받고 있는 수소(Hydrogen). 그렇다 보니 우리나라도 수소 생산부터 유통, 그리고 그걸 통해 작동하는 이동수단 등 산업 전반부에서 진정한 수소경제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 중인데요. 상업운행에 나선 세계 최초의 수소 열차, 코라디아 아이린트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알스톰 코라디아 이린트... 독일을 시작으로 무공해를 향해 힘차게 달려 나갈 첫 번째 수소연료 친환경 이동수단이라고 하면 전기차부터 떠오르시죠? 하지만 전기열차가 사실 우리 곁에 더 많이 다가와 있죠. 지하철이나 ktx 등 꽤 많은 열차가 전기로 달리고 있으니까요. 자. 여기 ..

N* Tech/ECO 2022. 9. 15. 19:00

태양광 발전 시장에서 중국의 생산력? by VISUALCAPITALIST.com

커져만 가는 환경 위기 앞에서 인류가 취할 수 있는 카드 중 하나가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재생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걸 텐데요. 그중 하나로 꼽히는 지구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으로 만든 태양에게서 에너지를 얻는 태양 에너지죠. 예전엔 태양열로 온수를 만드는 정도였지만, 최근엔 태양광에서 바로 전기를 얻어내고 있는데요. 태양광 발전 시장에서 중국의 패권은 무려 이 정도... 국제 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자료를 바탕으로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태양광 패널 시장에서 중국의 엄청난 힘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 태양광 패널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인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셀, 모듈/패널 제작 과정에서 중국의..

N* Tech/ECO 2022. 9. 8. 19:00

에코 웨이브 파워, 마요르카에 생길 거라는 스페인의 첫 파력 발전소

인류가 삶을 이어가려면 에너지는 필수적입니다. 문제는 인류가 그동안 의존하던 게 지구온난화를 가속화하고 환경의 균형을 무너트리는 화석연료였다는 거죠. 환경 문제가 커짐에 따라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최근엔 재생 에너지에 눈을 돌리고 있지만, 아직은 갈길이 멀죠. 익숙한 것에 취해 새로운 도전에 머뭇거리거나 아예 새로운 것에 공격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이들까지 있으니까요. 400여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거라는 스페인의 첫 파력 발전소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하지만, 환경 문제가 더 큰 부메랑이 되어 인류를 괴롭히기 전에 우리는 변해야 합니다. 이번엔 그 작은 변화를 시작한 스페인의 파력 발전소를 소개할까 하는데요. 스웨덴의 에코 웨이브 파워(Eco Wave Power)가 스페인의 마요르카(Ma..

N* Tech/ECO 2022. 7. 28. 19:00

에코바도. 친환경적이지는 않지만, 힙한 아보카도를 모방한 대체제?

혹시 아보카도 좋아하시나요? 버터 같이 뭉개지는 특유의 식감과 색, 모습까지 이질적이었던 이 과일이 인스타그램 같은 SNS를 점령한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은 듯한데... 뭔가 건강하다는 이미지까지 더해지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하더군요. 문제는 이 아보카도가 매우 수분을 좋아하는 식물이라 다른 식물을 기르는 것보다 훨씬 많은 물이 소비되고 있어서 친환경과는 거리가 먼 식재료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는 거죠. 그런 이유로 환경에 관심이 많은 이들은 아보카도 소비를 줄이거나 멈추고 있지만, 그런 사정에 관심이 없는 이들은 힙하다는 이유까지 더해 아보카도를 소비하는 상황. 에코바도, 지속가능성이 낮은 아보카도를 대신할 수 있을까? 영국의 예술대학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졸업생인 아리나 쇼쿠히(Arina..

N* Tech/ECO 2022. 7. 15. 07:00

추가 정보

반응형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3
다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