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I 기술에 대한 국가별 견해 차이는? by VISUALCAPITALIST.com

N* Tech/Scienc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23. 5. 26. 19:00

본문

반응형

인공지능 시장에 다시 한번 봄이 아니 여름쯤이 온 느낌입니다. 이세돌을 알파고가 이겼을 때 봄이 오나 했지만, 그 이상의 무엇을 보여주지 못해서인지 대중의 관심은 꺼졌었는데요. 챗GPT, 바드 같은 생성형 AI가 관심의 중심에 서면서 IT와 관련된 모든 관심이 인공지능에 매몰되는 요즘입니다. 덕분에 혹자는 인공지능의 발전에 희망찬 기대를 걸기도 하고 다른 누구는 일자리를 뺏어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기도 하죠. 지금의 생성형 AI들은 아직 거짓 정보를 전달하기도 하고 윤리적으로 잘 작동할 것인지. 또 개인정보 수집 같은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데요.

 

AI가 일으키는 변화, 그에 대한 국가별 시선의 차이는...


여러분은 AI를 어떻게 바라보고 계신가요?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계신가요? 아니면 우려 섞인 눈으로 보고 계신가요.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Ipsos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별로 인공지능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지를 소개하고 있는데요.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제품 및 서비스는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다.',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제품과 서비스는 내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든다.', 'AI를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가 향후 3~5년 내에 내 일상을 크게 변화시킬 것이다.' 같은 질문에 각국의 국민들이 보여준 반응은 사뭇 달랐다고 합니다.

 


예컨대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제품에 장점이 많다는 물음에 중국이나 사우디 아라비아, 인도, 페루 등은 70% 넘게 긍정을 표했지만, 프랑스, 캐나다, 네덜란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벨기에 등은 30% 정도만 긍정을 표했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삶을 편리하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도 중국, 사우디 아라비아는 80% 넘게 긍정을 표했지만, 프랑스는 39% 만 긍정을 표했습니다. 향후 3~5년 안에 인공지능이 일상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인가에 대해서도 중국, 사우디 아라비아는 80% 넘게 긍정한 반면, 캐나다,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40% 정도 긍정을 표했고요.

Ipsos는 이런 차이를 개발도상국처럼 성장하는 나라들은 인공지능 활용을 긍정적으로 바라본 반면 경제 수준이 높은 나라에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강하다고 평가했는데요. 인공지능 기술을 가진 회사에 대해 신뢰하느냐의 물음에도 소위 선진국이라고 말하는 경제 부국들은 부정적인 시선이 컸다는 게 흥미롭네요. 참고로 대한민국은 세 가지 물음에 모두 60~70%대의 선택을 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좀 더 우호적인 시선을 갖고 있는 걸 보여줬는데 여러분도 인공지능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시나요? 저는 기대와 우려에서는 반반이긴 한데 그 기술을 가진 기업, 그리고 그걸 활용해 돈을 벌려는 이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느냐에서 쉽게 물음표를 떼지 못하고 있네요. 과연 AI와 함께할 우리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Visualizing Global Attitudes Towards AI

We visualize survey results from over 19,000 adults across 28 countries to see how attitudes towards AI differ around the world.

www.visualcapitalist.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