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가전전시회라는 수식어답게 몇 해 전만 해도 CES의 얼굴은 대형 TV 같은 디스플레이였던 것 같은데 요즘은 스마트 디바이스나 전기차 같은 모빌리티들이 더 주목을 받는 게 아닌가 싶네요. 올해 열린 CES 2022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 브랜드가 사활을 걸고 새로운 TV를 선보였지만, 예전만큼 관심이 가지는 않네요. 어쩌면 제 개인적인 관심의 변화일 수도 있는 문제인데 여러분의 관심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CES 2022에서 등장한 몇 가지 흥미로운 TV를 소개해 봅니다. 대충 뭉뚱그려서요.ㅎ
먼저 그간 AMOLED라는 형태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작은 화면에만 적용했다가 이번에 처음 QD-디스플레이(QD-OLED)를 만들어 참전한 삼성전자 얘깁니다. 웬일인지 일반 전시를 하지 않아 의문을 품게 한 삼성전자는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OLED에 퀀텀닷(QD) 물질을 입혀 완성됐는데 흰색 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G전자와 달리 청색 소자를 사용하는 등의 차이가 있고 기존 OLED보다 색표현력이나 시야각, 명암비, 번인 등이 뛰어나다고 소개하고 있는데 그런 부분은 실제 제품이 출시되면 확인할 수 있겠죠.
대신 부스에선 8K 해상도의 미니 LED TV가 좀 더 주력인 모습이었습니다. 새 모델들은 높아진 휘도와 HDR 매핑, AI 기술로 장면 안에서 오브젝트에 깊이를 더하는 식으로 화질을 높이고 스페이스 핏 사운드, 오브젝트 트래킹 사운드 같은 기술을 더해 음질도 높였다고 합니다. 또 현재의 미니 LED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 LED를 적용한 85인치 마이크로 LED TV를 선보였는데 작년에 선보였던 110인치 모델이 15만 달러(1.8억 원 정도) 이상이었으니 이번에도 대중이 살만한 가격은 아닐 겁니다.-_-;; 길게 보면 OLED보다 더 나은 화질을 보여줄 거라고 기대되는 마이크로 LED지만, 대중화까지는 QD-OLED 이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할 걸로 보이네요.
LG전자는 더 커지고 더 작아진 OLED TV 라인업으로 대중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변신을 시도했습니다. 작게는 세계 최소인 42인치, 크게는 세계 최대인 97인치 등 PC 모니터를 대체하거나 프로젝터를 대신해도 될 듯한 제품들이 나온 건데요. 단순히 작아지고 커지기만 한게 아니라 42, 48, 55, 65, 77, 83, 88, 97 등 다양한 선택지에 올레드 에보(OLED evo) 같이 진화한 OLED 기술에 기반한 거라 더 뛰어난 화질과 긴 수명을 기대하게 한다는 게 올해 모델들의 기대 포인트입니다. 그리고 올 중순부터는 올레드 에보를 잇는 차세대 패널인 OLED.EX가 적용된 제품이 출시될 걸로 보이는데요. 지난해 말 처음 공개된 OLED.EX는 중수소를 이용해 휘도를 30% 개선하고 밝기는 1000니트 이상으로 끌어올렸다고 하는데요. 소자의 수명까지 길어졌다니 올레드 TV를 선택하는 이들이 더 많아지지 않을까 싶네요. 밝기 개선 외에도 더 정확한 자연색을 표시할 수 있고 베젤도 좁아져 전반적인 제품 디자인까지 매력적으로 변신할 테니까요. 이를 통해 후발주자인 삼성전자와 기술 격차를 이어가겠다는 포부인데 본격적으로 양쪽 패널을 사용한 TV가 비교되는 시기가 다가올 걸 생각하니 두근거리네요.
LG전자는 올레드 TV가 명확하게 주력이지만, 이외에도 국내에서 매진 바람을 일으키며 기대 이상의 시장성을 보여준 LG 스탠바이미를 선보였고, 미니 LED를 사용한 QNED와 나노셀 TV들도 함께 공개해 디스플레이 특성과 가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습니다.
국내에서 철수하면서 관심은 적게 받고 있지만, LG 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로 다양한 올레드 TV를 내놓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괜찮은 성과를 냈던 소니(SONY)가 이번엔 기존 OLED TV 외에 삼성전자의 QD-OLED를 적용한 새 브라비아 TV(Bravia TV)를 선보였습니다. OLED 패널의 장점과 퀀텀닷 LED 패널의 이점을 다 얻을 수 있다는 삼성의 전략이 소니에게 일단 먹힌 걸로 보이는데 실제 성과는 어느 정도일지 궁금하네요. 묘한 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삼성전자는 일반 소비자 대상 부스에 QD-OLED TV를 전시하지 않았는데 소니는 하면서 대중의 눈도장을 찍었다는 건데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부스를 찾은 사람 숫자가 예년에 비해 많이 줄었을 거라 삼성전자가 크게 손해를 보거나 하지는 않았겠지만, 묘한 아이러니가 아닌가 싶네요.ㅎ
소니도 8K 미니 LED TV를 선보이며 OLED와 LCD TV 선택지를 모두 제시했습니다. 일반적인 OLED 보다 더 밝고 번인에 대한 걱정이 적다는 것, 또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에 아직 LCD TV의 존재감이 적지 않으니 투트랙으로 가는 게 이상할 건 없죠. 새로운 이미지 프로세서 등을 적용해 화질을 더 끌어올렸다고 하는데 올해 소니의 TV 장사가 잘 될지는 지켜봐야 겠네요. 어차피 국내에선 새 브라비아 TV를 만날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그냥 상황만 체크하는 걸로...
이렇게 CES 2022에서 선보인 삼성전자 vs LG전자 vs 소니의 TV를 살짝 살펴봤는데 어느 쪽이 가장 끌리시나요? 혹시 올해 TV를 새로 드리고자 하는 분이라면 곧 본격적으로 출시될 제품들을 잘 비교해 보셔야 할 텐데요. 올레드 TV 시장에서 꾸준히 시장을 리딩하며 OLED.EX 같은 차세대 패널로 또 한 발 앞서가고 싶어 하는 LG전자 일지 QD-OLED로 막 시장에 뛰어들어 노력의 결과물을 보여줄 삼성전자 일지 아니면 양사 모두 내놓고 있는 미니 LED 기술이 적용된 LED TV들 일지 잘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네요.^^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