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OECD 국가들의 연간 노동 시간은? by VISUALCAPITALIST.com

N* Lif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23. 9. 7. 19:00

본문

반응형

요즘은 관련 뉴스가 나오지 않고 있어 진행 상황이 우려스럽지만, 올초 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노동 정책 중 주 69시간 근무제가 있었습니다. 이론상으로는 최대 80.5시간 근무할 수 있다고 해서 더 우려가 나오기도 했던 이 근무제는 일이 많을 때 몰아서 일하고 일이 없으면 쉴 수 있게 하겠다는... 현실에서는 기대하기 힘든 전제를 깔고 출발했는데요. 현재의 주 52시간 근무제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 회사가 많은 마당에 69시간으로 제한을 풀면 열릴 지옥도는 상상도 되지 않네요.-_-;;

 

멕시코 다음이었던 우리나라의 연간 노동 시간은 어느 정도일까?


잘 알고 계시는 것처럼 우리나라는 주 52시간제 하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노동 시간이 긴 걸로 유명했는데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산하 국가 중엔 멕시코, 다음으로 긴 걸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연간 근로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볼까요? VISUAL CAPITALISTOECD의 2021년 데이터를 참고해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풀타임과 파트타임 근무자 데이터를 포함해 국가별 연간 근무 시간을 비교하고 있는데요.

역시 1위는 2,128시간을 자랑하는 멕시코가 지키고 있고, 그 뒤를 코스타리카(2,073시간), 콜롬비아(1,964시간), 칠레(1,916시간)이 따르고 있고 대한민국이 1,910시간으로 4위를 달리고 있더군요. 주 52시간제 덕분에 그나마 멕시코 바로 뒤가 아니게 된 걸 다행스럽게 여겨야 할지. 주 69시간 근무제 등으로 노동 시간이 늘어나 다시 바짝 추격하게 될지 모른다고 우려해야 할지 모르겠지만요. 참고로 선진국들은 앞다퉈 주 4일 근무제 등 노동 시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사회 시스템을 바꿔가고 있는데 우리만 뒤쳐질듯해서 걱정이네요. 상대적으로 노동시간이 짧은 나라에는 독일(1,349시간), 덴마크(1,363시간), 룸셈부르크(1,382시간), 네덜란드(1,417시간), 노르웨이(1,427시간), 아이슬란드(1,433시간), 오스트리아(1,442시간), 스웨덴(1,444시간) 등 유럽의 선진국들이 대거 포진해 있었는데요. 노동에 짓눌려 일과 삶의 밸런스가 무너진 나라에서 미래를 찾을 수 있을까요? 새삼 우리나라 상황이 암울하게 다가오네요.;;;

 


 

Visualizing Annual Working Hours in OECD Countries

Where do people work the most? Explore our analysis of the average annual working hours across OECD countries.

www.visualcapitalist.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