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 세계 원자로 및 원자력 발전 현황 by VISUALCAPITALIST.com

N* Tech/Scienc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22. 1. 26. 19:00

본문

반응형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 배출이 적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지만, 체르노빌과 후쿠시마를 보고 원전이 마냥 안전하다고 할 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 그 이전에 폐연료봉을 비롯해 고준위 방사선 폐기물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현재의 원자력 발전에 계속 의지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더 큽니다. 당장은 아니지만, 길게 보면 핵융합 같은 새로운 방식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어져서 기존 핵분열을 대체하고 탈원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을 갖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2020년 기준 나라별 원자로수와 원자력 발전 현황...


VISUAL CAPITALIS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에는 IAEA PRIS 정보를 바탕으로 각국의 원자력 발전소 운영 현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에는 450여 개의 원자로가 존재하고 그들이 공급하는 전력량은 세계 전력생산량의 10% 정도. 생각보다 만드는 전기량이 적은 것 같아서 좀 더 데이터를 살펴보니 고작 15개국이 전 세계 원자력 발전량의 91%를 차지하더군요. 생각보다 적은 나라가 원전을 운영한다는 거죠.@_@;; 좀 더 세부적으로 보면 전 세계 원자력 발전의 30.9%를 차지하는 미국은 96개의 원자로를 13.5%를 차지하는 중국이 50개, 13.3%를 차지하는 프랑스가 58개, 7.9%를 차지하는 러시아가 39개, 그다음이 6%를 차지하는 대한민국이 24개를 운용하고 있는데요. 새삼 원전에 많이 의존하면서도 그 뒤까지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 무겁게 다가오네요.-_-^

 

심지어 '탈원전 백지화 원전 최강국 건설'을 표방한 모 후보 때문에...

 


 

Ranked: Nuclear Power Production, by Country

Nuclear power accounted for 10% of global electricity generated in 2020. Here's a look at the largest nuclear power producers.

www.visualcapitalist.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