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부터 전국 4,200여 대의 시내버스에서도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시작됐다니 새삼 IT 소비(!!)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이 실감 나는데요. 지하철에선 휴대전화도 안 터지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4G를 넘어 5G에 지하든 지상이든,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에서도 어렵잖게 무료 와이파를 쓸 수 있는 나라. 하지만, 그렇게 여기저기 열려 있는 공개 와이파이를 이용하실 때 주의하실 게 있습니다.
그나마 믿을만한 Public_ 혹은 Secure_ 어쩌고 하는 공공 와이파이라면 모르겠지만(그나마도 속일 의도로 이름을 그렇게 설정한 경우도 있으니 주의;;), 암호가 걸려 있지 않아 쉽게 접속할 수 있다고 해서 개인 와이파이에 덥석덥석 붙었다간 크래커들의 좋은 먹이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데이터 요금을 줄이겠다고 공개된 와이파이에 함부로 접속했다간 안 그래도 공공재인 개인정보 누출을 비롯해 온갖 험한 일을 당할 수도 있으니까요. Budget Direct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그런 경우에 아예 공개 AP에 붙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VPN이나 2단계 인증을 활용하라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데요. 하나부터 열까지 다 챙길 필요까진 없겠지만, 경각심과 함께 한 두 가지만 방법만 챙기며 주의하셔도 좋을 것 같네요.^^
Infographic: How to stay safe on public Wi-Fi | Simply Savvy
Hackers can access your data is through a ‘man in the middle’ attack. Check out how to stay safe on public wifi with our handy infographic
www.budgetdirect.com.au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