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블로그... 그 집중과 분산의 진화...

N* Tech/IT Service

by 라디오키즈 radiokidz@daum.net 2007. 4. 1. 14:42

본문

반응형
예전에 차니님의 강연에서 인터넷의 집중과 분산의 사이클에 대해 들은 적이 있다.
인터넷은 집중과 분산의 사이클을 반복하고 있다는 이야기로 초기 인터넷이 분산이었다면 이후 포털 기반의 서비스로 집중을 또 다시 1인 미디어 중심으로 서비스로 분산을 해오고 있다는 이야기로 이후 데이터 플랫폼 중심으로 또 한번 집중을 경험할 것이라는 것이었다.

대게 이런 흐름은 5년을 주기로 집중과 분산을 오고간다는 내용이었는데 이런 흐름은 1인 미디어 서비스에 가까운 블로고스피어에도 예외없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게 최근에 가지게 되는 생각이다.


블로그의 시작과 분산...

초기 블로그 서비스는 포털 중심의 가입형과 워드프레스, 태터툴즈와 같은 설치형으로 출발했다. 수많은 군소 업체들이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했고 붐처럼 블로그들이 개설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여러 업체에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다보니 처음에는 포털 블로그의 힘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고 블로고스피어는 다양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개별 블로그의 힘은 강해지기 어려웠다. 뻔한 숫자의 방문자에 무척이나 아쉬웠던 초창기의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신의 글을 세상에 알리고 세상과 이야기할 통로서의 블로그는 개인의 노력 이상으로 외부와의 연결 채널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조용히 은거하는 블로그를 원하는 블로거들과는 상관이 없을지도 모르지만 더 많은 블로거들을 만나고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창구가 필요했고 그렇게 등장한 것이 메타 블로그 서비스들이다.


메타 블로그를 통한 집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코리아, 올블로그를 필두로 다양한 메타 블로그 서비스들이 출현했고 이러 흐름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블로거들의 소통 창구로서 새로운 글을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메타 블로그들은 맡은 바 소임에 충실히 서비스를 제공해왔지만 어느새 서비스의 한계에 봉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정 주제의 글이 두드러지게 노출되면서 다양성을 의심받았고 쏟아지는 포스트의 홍수 속에서 가치있는 혹은 자신이 읽고 싶은 글을 찾아가기가 더 힘들어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은 대부분의 메타 블로그에게 공통적으로 찾아왔으며 메타 블로그 방문자들의 항의도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은 메타 블로그의 운영진이 해결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들이다.

오픈블로그나 블로그플러스처럼 운영진이 직접 편집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나마 한쪽으로 치우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겠지만(하지만 두 곳 모두 자사의 색깔을 위해 정치나 연예 관련 포스트를 의도적으로 노출하고 있다.) 올블로그처럼 자동화에 치중하는 경우 블로거들의 포스팅 경향이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다.(읽고 싶은 것을 올리고 추천하고 쓰고 싶은 것을 쓰는 만큼...)


메타 블로그의 변화와  또 다른 형태의 분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일까... 올블로그 등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 블로그를 세분화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블로그 카페'라는 이름으로... 블로그 카페는 기본적으로 팀블로그, 블로그 커뮤니티, 전문화된 소형 메타 블로그 제작을 위한 서비스로 곧 정식으로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그 외에도 전문화된 소형 메타 블로그을 위한 서비스들이 하나 둘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Withblogger가 그렇고 현재 준비 중인 미디어몹의 '링'서비스가 그렇다. 이 외에 또 다른 곳에서는 설치형 툴 형태의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메타 블로그들이 이런 서비스를 준비하는 이유 중 하나는 팀 블로그에 대한 블로거들의 관심이 늘어나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 그간 혼자 활동해오던 블로거들이 뜻이 맞는 혹은 관심사를 공유하는 다른 블로거들과 힘을 합쳐서 팀 형태로 블로그를 꾸려가는 팀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

이런 팀 블로그는 개인이 올리던 블로그보다 양질의 포스트와 다양한 시각을 한꺼번에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다수의 블로그들의 글이 모이면서 자연스레 미디어적 파워도 강해지게 되어 참여한 블로거들에게 좀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필수적인 선택은 아닐지라도 모래알같이 흩어진 블로그가 사사오오 모여 좀 더 강한 블로그로 성장해갈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이고 이미 국내외에서 팀 블로그들이 뿌리를 내려가고 있는지라 이런 팀 블로그는 새로운 형태로 분화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블로그는 현재도 진화중...

개인을 중심으로한 블로그의 양산... 이후 소통을 위한 메타 블로그로의 집중... 메타 블로그의 한계와 그룹화되어가는 블로그들... 블로그는 이렇게 진화 중이다. 물론 이 모든 내용은 그간 블로고스피어를 구르면서 느낀 내 생각일 뿐이지만 어쩌면 많은 블로거들이 공감하고 고민해오던 것들인지도 모르겠다.

블로그로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를 많은 사람들이 들어줬음 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메타 블로그 연동... 이후 늘어나던 방문자에 행복했었지만 메타 블로그는 조금씩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자... 그렇다면 이제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그간 알던 이들과 팀 블로그라도 꾸릴 것인가? 아니면 메타 블로그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것인가? 그것도 아니라면 기존의 흐름대로 유유자적 흐를 것인가...

블로거들은 어느새 블로그의 흐름까지 고민해야 할 때가 된 것 같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